JavaScript/DreamCoding

JavaScript function 재정리

느리지만 꾸준하게 2021. 8. 3. 20:09

첫번쨰로 함수 선언 & 호출을 보자

함수를 선언할 때는 function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하고 함수이름을 원하는 이름을 쓸 수 있다.

()안에는 함수의 어떤 값을 전달받아 올건지 전달받는 인자를 정의하는 부분과 실제로 함수안에서 어떤 코드가 동작하는지 코드 작성하는 부분 2가지로 나뉘게 된다.

 

add라는 function을 만들자. 두 인자를 더하는 function이다. 두 인자를 받아와서 코드를 수행한다. (다른 언어같은 경우는 a와b 둘다 타입 명시해줘서 어떤 타입인지 적어줘야 한다.) return을 해서 sum적어준다.

 

함수를 변수에 할당한 것을 보면

상수변수를 하나 만들고 add라는 함수이름을 할당하고 넣어준다. 콘솔을 찍어보면(addFun 넣음)

호출하고 싶으면 addFun()안에 함수이름에 1 2 를 넣는다.(add라는 것은 결국 위에 정의가 되어있으니까 )

console.log(addFun)=>함수자체가 나온다

결론적으로는 함수를 호출할 때는 항상 ()를 써야한다.()쓰지않으면 함수자체를 전달하는 것이다.

 

함수마다 정의된 인자값들을 전달해줘야한다.(필요한 인자값들을 잘 전달해준다.)

 

함수의 이름만 변수에 할당하고 함수에 전달하면 함수자체를 전달하는 것을 알자.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PuG2VW18O1E&list=PLv2d7VI9OotTVOL4QmPfvJWPJvkmv6h-2&index=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