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과 Github는 무엇인가?(Dream coding)

느리지만 꾸준하게 2021. 7. 1. 22:09

내가 지정한 폴더안에 git이라는 파일이 생성이 되는데, Git파일 안에는 사용자가 폴더 안에서 만든 파일들

그리고 파일들이 수정될 때 마다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버전을 등록할 수가 있다.

즉, 사용자들이 프로젝트의 버전을 관리할 수 있게 도와준다.

 

 

git 

commint => version으로 등록하자는 걸 알고서 이해하기

사용자가 지정한 폴더 안에 존재하는 파일 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pc에 문제가 생기거나 실수로 폴더를 삭제해 버리면 완전히 날아가서 복구할 방법이 없다

=> github나 bitbucket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해서 우리의 git 파일을 여기 인터넷

서버에다가 안전하게 업로드 해두는 것이다.

다른 pc를 이용하더라도 github나 bitbucket과 같은 아이들이 이용해서 똑같은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git의 정말 좋은점은 분산형 관리 시스템이라는 것인데, 다른 버전 관리 시스템은 한 서버에만 git같은 파일이

존재해서 다수의 사용자가 버전을 업데이트 하면 서버에 있는 파일만이 업데이트 되어 지기 때문에 서버에 문제가

생기거나 서버가 날아가 버리면 버전 전체가 날아가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지만 git은 내 pc에도 있고 또 github나 이런 서버에도 있고 다양한 곳에 분산에 되어져서 관리가 되기 때문에 한 곳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사람들이 동일한 git 파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복구하기가 좋다.

 

 

마지막으로 git하면 빼놓을 수가 없는 것 git branch이다

사용자들이 작성해서 커밋 M1 그리고 작성하다가 M2 이런 순으로 새로운 버전을 계속 커밋 해나가면 쭉쭉 branch가 생긴다. 이렇게 한 부분에 계쏙 커밋을 해나가는 branch가 바로 Master branch

 

즉, 사용자들이 다른 branch를 만들지 않으면 기본 줄기는 바로 master branch. 그래서 그냥 commit해서 version을 계속 추가해 나가면 한 줄기에서 이렇게 쭉 연결되어진 commit이 생기게 된다.

한 branch 해서 계속 새로운 commit을 이용해서 만드는 것 보다는 세 가지 다른 version의 웹 사이트 만들어서 나중에 추가적으로 비교할 때에는 m3가 커밋된 순간부터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어서 즉,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서 다크 모드를 점점 만드는 것

 

그리고 똑같은 m3 시점부터는 조금 더 밝은 핑크 색깔의 branch를 만들어서 다른 커밋을 만들어 놓을 수 있다. 기존에 진행되고 있는 코드는 변경하지 않고 m3부터 조금 더 다른 버전으로 새로운 커밋을 만들어 나갈 수가 있다.

 

git은 ui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조금 더 심오하게 들어가면 공부할 것이

의외로 많은것을 이해하자. 

 

 

참고 : https://academy.dream-coding.com/enrollments

 

Dream Coding

We suggest moving this party over to a full size window. You'll enjoy it way more.

academy.dream-coding.com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Alias 설정  (0) 2022.01.03
does not have a commit checked out 에러 해결(git error)  (0) 2021.11.23
git push error  (0) 2021.11.05
git push error  (0) 2021.11.02
저장소별 계정 설정  (0) 2021.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