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요청 메시지는 아래와 같이 생겼다.
두번째 부분보면 SOCKET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OS TCP / IP 계층에 전달을 해준다.( SYN, SYN / ACK, ACK)
전송데이터는 웹브라우저가 만든 HTTP 메세지이다.
인터넷 망으로 던지면 수많은 인터넷 노드를 통해서 200.200.200.2로 전달이 된다.
요청 패킷이 도착하면 구글 서버가 TCP/IP 패킷을 다까서 버리고 HTTP 메시지를 해석을 한다.
(query가 hello이고 search로 왔고 hl와 관련된 ko로 해서 데이터를 찾는다.
다음 구글 서버에서 HTTP 응답 메시지를 만들어 낸다. Content-Type은 데이터부가 html형식이다라고
언어는 UTF-8로 charset이 되어있다 정보를 넘긴다. 실제 html의 길이는 Content-Length
웹 브라우저에서도 패킷을 까고 http 메시지가 들어있고(윗 그림) 웹 브라우저에서 HTML이 렌더링이 된다.
<출처 김영한: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
https://www.inflearn.com/course/http-%EC%9B%B9-%EB%84%A4%ED%8A%B8%EC%9B%8C%ED%81%AC/dashboard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 인프런 | 강의
실무에 꼭 필요한 HTTP 핵심 기능과 올바른 HTTP API 설계 방법을 학습합니다., - 강의 소개 | 인프런...
www.inflearn.com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teful, Stateless (0) | 2022.04.07 |
---|---|
HTTP 기본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0) | 2022.04.07 |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0) | 2022.04.07 |
PORT & DNS (0) | 2022.04.07 |
TCP, UDP (0) | 2022.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