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만든 MVC 프레임 워크 구조를 살피면서 SpringMVC 구조와 비교해보자.
- SpringMVC 구조는 고객의 요청이 오면(HTTP 요청) FrontController 역할을 하는 DispatcherServlet이 핸들러 매핑에게 핸들러 조회를 하고 여러개의 핸들러를 스프링 부트가 등록을 해놓는다.
- 핸들러 어댑터 목록에 던지면 핸들러 어댑터가 얘를 처리할 수 있는데 하고 핸들러 어댑터가 튀어나온다.
- 핸들러 어댑터를 통해서 실제 핸들러를 호출하고(컨트롤러) 반환을 해준다.
- 그리고 View가 렌더가 되면서 실제 HTTP 고객의 응답에 나가게 된다.
HandlerMapping은 2개가 있다.
0 = RequestMappingHandlerMapping : 애노테이션 기반의 컨트롤러인 @RequestMapping에서 사용
1 = BeanNameUrlHandlerMapping :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핸들러를 찾는다.
HandlerMapping해서 handler를 얻게되면
HandlerAdapter를 얻는다.
0 = RequestMappingHandlerAdapter : 애노테이션 기반의 컨트롤러인 @RequestMapping에서 사용
1 = HttpRequestHandlerAdapter : HttpRequestHandler 처리
2 = SimpleControllerHandlerAdapter : Controller 인터페이스(애노테이션X, 과거에 사용) 처리
뷰 리졸버는 논리 이름을 반환하면
return new ModelAndView("new-form");
InternalResourceViewResolver가 등록이 되면서 스프링 부트의 설정 정보를 가지고 등록을 해준다.
// application.properties
spring.mvc.view.prefix=/WEB-INF/views/
spring.mvc.view.suffix=.jsp
마지막으로 SpringMVC를 다루어 보았는데
- HTTP 요청이 오면 핸들러 매핑에게 핸들러 조회를 DispatcherServlet가 해주고 찾은 핸들러 가지고
- 핸들러 어댑터 목록에서 핸들러 처리할 수 있는 핸들러 어댑터를 조회하고
- 그 다음 핸들러 어댑터가 실행이 되고 실제 핸들러(컨트롤러)가 실행이 되고
- ModelAndView를 반환한 다음
- viewResolver를 통해 View가 반환이 되고
- 렌더링이 되서 실제 view가 나오게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zt4Qo/btrAK3f3Tdm/9EZybINqyup02OeaRISal0/img.png)
<출처 김영한: 스프링 MVC 1편 - 벡앤드 웹 개발 핵심 기술>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mvc-1/dashboard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 인프런 | 강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한 모든 웹 기술을 기초부터 이해하고, 완성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MVC의 핵심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더 깊이있는 백엔드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www.inflearn.com
'Spring > SpringMV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청 매핑 (0) | 2022.04.29 |
---|---|
스프링MVC 기본기능 (0) | 2022.04.29 |
스프링 MVC를 시작과 컨트롤러 통합 & 실용적인 방식 (0) | 2022.04.28 |
뷰 리졸버 (0) | 2022.04.28 |
핸들러 매핑과 핸들러 어댑터 (0) | 2022.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