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youtube_clone_coding 13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ST)로서 back-end와 clint에서 어떤 방식으로 communication 결정해 놓은 것이다. 그래서 REST API라고 부르고 혹은 RESTful Web services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REST에는 4가지 정도의 정해놓은 메소드가 있는데 많이 쓰이는 GET POST PUT DELETE 이러한 것들이 있다. GET은 사용자가 정보를 서버에서부터 받아 올 때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받아 온다면 GET을 사용하면 된다. 그래서 정보를 읽을 때에 사용되어 진다. POST는 새로운 사용자를 만들 때 사용되어지는 메소드이고 PUT은 이미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업데이트 할 때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DELETE는 말 그대로 이미 존재하..

API KEY 설정하기

Youtube API사이트에 들어와서 Google Developers Consoles를 클릭한다. 새로운 Project를 만들고 project명을 youtube라고 설정한다. API Library로 들어가서 youtube Data api v3 눌러서(유튜브 데이터를 쓰기 위해서 필요한 API이다.) 클릭하고 ENABLE를 누른다. API를 활성화 하기 위해서 create credentials을 눌러서 youtube data API v3를 선택하고 어디서 부를거니라고 물어보면 Web browser(JavaScript)를 누른다.(브라우저에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나는 이거 건너뛰었다. 마지막으로 public data를 선택한다. => what credentials do i need? 클릭한다. 인증서..

Youtube Clone_Coding Set Up

전에 만들어 놨던 template 폴더에서 commit을 하지 않았으므로 commit 진행 cd C:\Users\kjh\react_dc\react-basic\template => template 경로로 들어가서 작업 시작 git status => 명령어를 통해서 작업한 파일들이 커밋이 아직 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git add * => git add를 진행해서 파일들이 스테이지 상태로 넘어간다. git status => 다시 한번 git status를 진행 git commit -m "init project" (메세지는 프로젝트를 셋업 했으니까 init project로 작성) 이제 template에 있는 파일과 폴더들을 복사해서 새로운 youtube 폴더안에다가 복사하는 과정을 진행해본다. cd....